-
기능성화장품 심사 시 인정되는 효력시험 자료의 범위를 확대하고, 자외선 차단성분 1종에 대한 기능성화장품 함량기준을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는 사용한도와 일치 및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과 중복되는 ‘미생물허용 시험’을 삭제함으로써 화장품 산업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화장품 품질관리에 대한 more ...
-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기준을 정하고 있는 중금속, 메탄올 및 내용량 시험항목 삭제 및 ‘사용할 수 없는 원료’로 이미 지정된 자외선 차단성분 2종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삭제하고, 안전성․유효성이 확보된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화장품의 기준 및 시험방법을 고시하여 신규 수재 제형에 대해 별도의 심사를 받지 more ...
-
상해식품의약품감독관리총국은 최근 화장품 감독관리 회의를 개최하였다. 회의 참석자 Amei Li의 소개에 따르면 올해 화장품 감독관리의 새로운 추세는 다음과 같다. more ...
-
구강 내에 사용하는 구강청결용 물휴지, 구중청량제, 치약제 등의 품목이 에탄올 또는 불소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제품에 기재해야 하는 주의사항 등을 정하여 소비자 알권리 및 선택권을 보장하고 의약외품 적정 사용을 도모하려는 것인다. more ...
-
대만의 화장품에 대한 위생 및 안전 규정 개정안으로 카테고리 확대, 라벨링 정보 관리 규정 개정 등을 실시한다. more ...
-
푸젠성품질검사원에서 제정한 <GB/T 30942-2014화장품 금지물질인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2-(2-메톡시에톡시) 에탄올에 관한 측정 가스착생법> 국가기준은 공포∙시행된다고 밝혔다. 동 기준은 화장품에 사용금지된 3종 물질에 관한 측정방법을 제정하였으며 주로 크림, 로션 그리고 more ...
-
대만 MOHW(위생복리부)는 의약용 화장품 내 함유한 신규 화합물 기술심사 문서에 대한 요구를 조정한다고 공고하였다. 이는 동물시험을 감소하고 “무잔인” 화장품규제체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다. MOHW는 OECD와 EU에서 발포한 수많은 동물시험 대체방법을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런 노력은 국제 화장품업계와 조화를 이루고 more ...
-
최근, 말레이시아 NPCB(Malaysia National Pharmaceutical Control Bureau)는 3종 히드로퀸과 수은 함유 화장품을 공고하였다. 해당 제품은 말레이시아에서 판매 금지된다. more ...
-
최근 필리핀 RFO-NCR(Regional Field Office-National Capital Region)은 고시하지 않은 화장품에 대하여 수은, 납과 비소함량 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4개 화장품에서 납 함량이 제한치20ppm을 초과하였는 것을 발견하였다. more ...
-
대만 MoHW 인원 Lin Yijie는 대만 구 “ 화장품위생관리조례(Statute for Control of Cosmetic Hygiene)”를 개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more ...
-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190호, 2013. 6.26.)을 일부 개정함에 있어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수렴하고자 그 취지, 개정 이유 및 주요 내용을 「행정절차법」 제46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한다. more ...
-
「기능성화장품 기준 및 시험방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28호, 2013. 4. 5)을 일부 개정함에 있어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수렴하고자 그 취지, 개정 이유 및 주요 내용을 「행정절차법」 제46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공고한다.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