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정부는 최근 공고를 발표하여 동물실험을 거친 화장품 수입 금지령의 수입자에 대한 규정을 구체화하였다. more ...
-
대만 FDA는 “나노성분 화장품 위험평가 가이이드라인”을 발포하여 화장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문서요구를 표준화한다고 밝혔다. more ...
-
2013년 12월 16일부터 미백제품은 특수용도 화장품으로 분류되었다. 2015년 6월 30일부터 특수 용도 화장품인증이 없는 미백화장품의 제조·수입은 금지된다. more ...
-
지난 11월, 중국 FDA는 화장품라젤관리방법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초안은 2015년 7월 1일에 발효될 예정이었다. 현재, 이미 시장에 유통 중인 화장품은 2016년 6월 30일부터 새로운 규정을 준수한다. 이는 초안의 시행일자와 일치하지 않으며 CFDA는 규정 최종 버전 발표일을 밝히지 않았다. more ...
-
2015년 6월 16일, 중국 식약처는 중국 기존 화장품원재료목록 2014(IECIC) 초안을 발포하고 6월 25일까지 의견 수렴한다고 밝혔다. more ...
-
중국 FDA는 미용실과 의학미용기관에서 위조 또는 불법 히알론산나트륨 함유 제품을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소비자는 히알론산나트륨 함유 제품을 유의하여야 하고 공식 허가증을 보유하고 있는 미용실 또는 미용기관에서 관리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 more ...
-
필리핀식약처는 아시안화장품지침을 시행하기 위해 유예기간을 지정하였다.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more ...
-
CFDA 교육프로그램은 올해 4월 27-29일 개최하였다. CFDA정부인원과 기술평가전문인원은 다음 사항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more ...
-
2015년 4월 20일, 대만 위생복리부는 공고를 발표하여 2016년 1월 1일부터 콜타르 함유 화장품의 수입, 제조, 판매, 공급과 마케팅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more ...
-
염모제 등의 용법․용량, 치약제의 효능․효과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을 개선하여 의약외품 품목신고․심사의 효율성과 의약외품 적정 사용 및 안전성․유효성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제고하고, ‘액취방지제 표준제조기준’을 신설하여 의약외품 산업을 활성화 하려는 것이다. more ...
-
2015년 3월 31일,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를 위한 투표는 뉴질랜드 국회에서 진행되었다. 개정된 동물복지법안에 따르면 동물실험 화장품 및 그 원료는 뉴질랜드에서 사용 금지된다. more ...
-
모발 착색제 분류가 명확하지 않고 모발 염색제가 의약성, 독성 또는 강약성을 갖고 있기에 대만 MoHW는 “화장품품목리스트”를 “화장품 범위 및 품목 more ...